NANOMEDICINE LABORATORY

 The NML is exploring various tools of nanotechnology to employ them in biomedical application. Our team develops novel nano-bio platforms for probing a small amount of various biomarkers quantitatively and dynamically. The primary nano-bio approach employs nanoconstructs (quantum dots, magnetic particles, protein, peptide constructs, engineered viruses etc.) to capture bio-molecules/bacteria/toxins in a high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rom those data, we aim to build detailed profiles that describe the state and evolution of the target biomolecules. The applications for these technologies that we are pursuing include multiparametric characterization of rare cells, biomolecules, discovery of new therapies, and immunological monitoring.

 The lab itself is an interdisciplinary and team-oriented environment. Our team applies concepts and techniques from material science, chemical engineering, chemistry, physics, biology and biomedical engineering to address clinical questions in cell biology, cancer research, stem cell research, tissue engineering, pathogen monitoring, nano-antibiotics, etc. We value expertise from a range of backgrounds relevant to these areas of research.

 The long-term objectives of our work is the transfer of our novel nano-bio technologies into clinical laboratories for extended use in biomedical research.

 

실험실 역사 및 소개

나노메디신 연구실 (Nanomedicine Lab)


최종훈 교수 실험실은 최종훈 교수가 2013년 3월 한양대학교 ERICA 생명나노공학과에 부임하면서 시작되었으며, 나노의학실험실 (Nanomedicine Laboratory)의 이름으로 출범 하였다.

2013년 부터 췌장암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나노기술, 약물전달용 나노입자, 고위험성 병원균 검출용 나노센서, 항생제 저항성 세균의 진단 및 치료 등의 개발 주제로 학업 및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노의학 실험실은 2016년 3월 서울 흑석동에 위치한 중앙대학교 융합공학부로 소속을 옮겼으며 현재 계속하여 약물전달용 나노구조체, 바이오센서용 나노물질, 항균/항바이오필름 복합나노구조체, 면역치료용 세포 나노공학기술 등의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2025년 부터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성형외과학교실 강신혁 교수와 함께 랩을 확장하여 보다 임상에 가까운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국내외 공동연구 기관과 활발한 협업을 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Institute of Science Tokyo의 Masayoshi Tanaka 교수, 펜실베니아 대학 이대연 교수, 나고야 대학 Ryuji Kato 교수 등과 해외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중앙대 약학대학, 한국원자력의학원, 연세대 치대 구강생물학교실, 인하대 생명공학과, 한양대 ERICA 분자생명과학과, 서울과학기술대 등과 협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